홈 > 정책개발
수요자 중심의 교육 이루어야
지난 달 31일 전국 초·중학교에서 실시된 교과학습 진단평가에서도 771명의 학생들이 체험학습 등을 이유로 시험을 거부했다.
이번 진단평가 대상은 초등학교 4∼6학년과 중학교 1∼3학년생이었다.
비록 전국교직원노동조합이 예고한 수보다는 적은 수의 학생들이 시험을 거부하기는 했지만, 결국 진단평가에 대한 반발은 여전한 것 같다.
이쯤 되면 진단평가에 대해 정확한 대안과 해법이 나와야 하지만 아직 교육당국은 강행에만 힘을 쏟을 뿐 대안은 없는 것 같다.
진단평가라는 것은 결국 학생들의 학습능력을 시험을 통해 평가하고 그 결과를 토대로 개인별 혹은 지역별에 맞는 교육방법을 제시한다는 것이다.
하지만 이런 일련의 평가는 결국 하나의 전제조건을 가지고 있다. 그 조건은 결국 아이들이 국·영·수 등 교과과목을 잘 해야 한다는 조건이다.
모든 학생들이 교과과목을 일정정도 수준으로 해야 한다는 발상은 결국 개인 능력의 다양성을 무시하는 것이다.
교육의 공급자인 교육당국에서야 자신들이 공급하는 내용이 수요자인 학생들에게 모두 습득되길 바라겠지만, 수요자인 학생 모두가 그 공급물을 원하고 있지는 않을 것이다.
어떤 학생은 국·영·수 보다는 예·체능에 더 흥미와 두각을 나타낼 수 있고, 어떤 학생은 컴퓨터 게임에 더 두각을 나타낼 수 있다.
교육은 공급자 중심이 되어서는 안 된다. 교육은 수요자가 중심이 되어야 한다.
아직까지 우리나라가 학력과 출신학교를 통해 개인의 삶이 달라지는 것은 부정할 수 없다.
그리고 그런 학력과 좋은 학교에 입학하기 위해서는 국·영·수 등 교과과목을 잘 해야 한다는 것도 부정 할 수 없다.
하지만 이 병폐가 지난 수십 년간 계속되는 실정에서 대안 없는 진단평가는 결국 다양성을 중시 여겨야 하는 우리 교육에 걸림돌이 되지 않을까 하는 우려는 지울 수 없다.
다행히도 마이스터고와 입학사정관제 등이 그동안 획일적 교육에 제동을 거는 중요한 시험무대가 되기 위한 준비가 진행중에 있다.
결국 정부나 교육당국도 획일교육이 아닌 다양성 교육에 중요성을 인식하고 있다고 생각된다.
물론 학생들의 학력은 검증을 해 보는 것도 필요하다.
그리고 교육을 하는 교사들의 실력도 객관적인 검증이 필요하다. 그를 토대로 올바른 교육방법을 제시하고 교사들에게도 그 평가를 토대로 노력하는 교사가 될 수 있다면 더 없이 좋은 일일 것이다.
하지만 아직 이 평가들에 대해 논란이 많은 것은 결국 평가보다는 줄 세우기가 아니냐는 우려 때문이다.
만약 그런 것이 아니라면 교육당국도 무조건적인 밀어붙이기 평가가 아닌 합리적이고 타당한 이유를 들어 국민을 이해시키면 된다.
그리고 그 평가들은 공급자가 아닌 수요자의 입장에서 대안 있는 평가를 하면 될 것이다.
또한 평가를 거부한 교사나 학생들에게 파면이나 결석처리 등 강압적인 처벌보다는 그들의 이야기를 경청하고 그들이 왜 반대를 하는지에 대해 귀 기울여 보는 노력도 필요할 것이다.
그런 다음에 평가가 강행되어도 결코 늦지는 않을 것이다.

총 덧글수 :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