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초학력 미도달학생 꾸준히 감소세 보여 지난해 10월 실시한 초등학교 3학년 국가수준 기초학력 진단평가 결과, 기초학력 미도달 학생 비율이 꾸준히 감소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교육과학기술부가 발표한 이번 초등학교 3학년 기초학력 진단평가 결과 기초학력 미도달 학생 비율은, 읽기 2.2%, 쓰기 1.3%, 기초 수학 2.6%로, 2006년 결과에 비해 읽기 0.2%포인트, 쓰기 0.7%포인트, 기초 수학 1.8%포인트가 감소하였다. 2002년과 비교해 보면 읽기 1.2%포인트, 쓰기 1.7%포인트, 기초 수학 4.2%포인트가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성별에 따른 결과를 보면, 남자의 기초학력 미도달 비율은 읽기 3.1%, 쓰기 2.0%, 기초수학 2.3%이고, 여자는 읽기 1.3%, 쓰기 0.6%, 기초수학 2.8%로 나타나 여학생의 실력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기초 수학의 경우는 2004년 이후 남학생에 비해 여학생의 미도달 비율이 약간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지역별 결과를 보면, 2007년의 경우 중소도시의 기초학력 미도달 비율이 타 지역에 비해 낮고, 읍면지역은 타 지역에 비해 높은 편이였다.
2002∼2007년간 추이를 살펴보면, 도시지역과 읍면지역 간 기초학력 미도달 비율 차이는 점차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2007년 중소도시와 읍면지역 간 미도달 비율 차이는 읽기 2%포인트, 쓰기 1%포인트, 기초 수학 1.2%포인트로 나타나, 그 차이가 2002년도에 비해 읽기, 쓰기, 기초 수학 모두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2007년 읍면지역 학생들의 기초학력 미도달 비율은 2002년도에 비해 읽기 1.9%포인트, 쓰기 2.9%포인트, 기초 수학 6.6%포인트 감소하여, 중소도시(읽기 1.1%, 쓰기 1.3%, 기초 수학 3.6%), 대도시(읽기 0.9%, 쓰기 1.3%, 기초 수학 3.9%)보다 감소 폭이 큰 것으로 나타났다.
2006년에 비해서는 읍면지역 학생의 기초학력 미도달 비율은 쓰기 0.5%포인트, 기초 수학 2.8%포인트 감소하였으나, 읽기는 0.8%포인트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기초학력에 영향을 미치는 배경변인을 분석한 결과, 교사에게 칭찬을 많이 받는 학생, 학교생활에 흥미가 많은 학생, 부모와 대화를 자주 나누는 학생, 학습 준비물을 잘 챙기는 학생의 기초학력점수가 높은 것으로 나타나, 교사의 칭찬, 학교생활에 대한 흥미, 학생에 대한 학부모의 관심, 자기주도적 생활이 학생의 기초학력을 높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다른 사람(과외나 학원선생님 등)의 도움을 받는 학생보다는 혼자 숙제를 해결하고, 항상 부모가 숙제를 확인해 주는 학생의 기초학력 점수가 높게 나타나, 자기주도적 학습 태도, 학부모의 자녀 학습에 대한 관심 등이 기초학력을 높이는 데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교육과학기술부는 미도달 학생에 대하여는 한국교육과정평가원을 통해 개발·보급한 기초학력 보정교육 자료 및 교육청·학교의 자체 개발자료 등을 적극 활용하여 지도하도록 하고, 학년말에 학교별로 실시하는 재평가를 통해 기초학력 도달여부를 확인하는 등 학습부진학생 책임지도 정책을 지속적으로 추진할 계획이다.